IDDD 14장. 애플리케이션

  • 사용자 인퍼페이스와 도메인 모델 사이에 위치
    • 유스케이스 태스크를 조정
  • 트랜잭션, 보안 권한 부여 담당

애플리케이션을 핵심 도메인 모델과 상호 교류하며 이를 지원하기 위해 잘 조합된 컴포넌트의 집합을 의미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도메인 모델 그 자체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부적으로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인프라적 컴포넌트를 뜻한다. 이 각각의 영역에 어떤 것들이 들어가는지는 애플리케이션마다 다르며, 사용하는 아키텍처가 무엇인지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특정한 한 가지 아키텍처에 국한되지 않은 주요 애플리케이션 영역. 여전히 각기 다른 영역의 추상화에 의존적인 인프라의 DIP를 강조한다.

그림 14.1 특정한 한 가지 아키텍처에 국한되지 않은 주요 애플리케이션 영역. 여전히 각기 다른 영역의 추상화에 의존적인 인프라의 DIP를 강조한다.

ui.Controller -구현-> infra.TomcatController -위임-> application.Service -구현-> infra.TransactionalService -위임-> domain.Repository -구현-> infra.JpaRepository -의존-> infra.Mysql

  • 필자는 UI -> Appcliation -> Infra 순서로 설명해 나간다. (Top-Down 방식)

사용자 인터페이스

UI 종류

  1. Web 1.0 렌더링 되는 HTML
  2. Web 2.0 DHTML + Ajax
  3.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 + HTTP 통신

도메인 객체의 렌더링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다수의 애그리게잇 인스턴스의 속성을 렌더링할 필요가 있지만 한 번에 하나의 인스턴스를 수정하도록 요청한다

그림 14.2 조회 시에는 복수 의 애그리게잇. 명령 시에는 한 개의 애그리게잇

애그리게잇 인스턴스로부터 데이터 전송 객체를 렌더링하기

DTO + Assembler

개인적으로 가장 선호하는 방식

애그리게잇 내부 상태를 발행하기 위해 중재자를 사용하자

중재자 패턴

개인적으로 비추 도메인 모델이 (약하긴 하지만) UI에 의존하게 됨

도메인 페이로드 객체로부터 애그리게잇 인스턴스를 렌더링하라

도메인 객체를 내부에 담고 있는 DPO(Domain Payload Object)로 렌더링 하는 방식

  • 지연로딩 이슈가 있기 때문에 OSIV와 같은 기술과 함께 쓰길 권장한다.

애그리게잇 인스턴스의 상태 표현

View Model? Presentation Model?

DTO와 차이점을 모르겠다. 상태를 표현한다는 것으로 보아 불변이 가능한 정도 차이인 것인가?

유스케이스 최적 리파지토리 쿼리

특정 유스케이스에 특화된 쿼리 메소드 제공.

CQRS와 구분하자.

다수의 개별 클라이언트 처리하기

이건 SKIP 하자. 최근의 MVC 프레임워크에서 지원하므로 Application의 책임이 아니라고 본다.

변환 어댑터와 사용자 편집의 처리

Adapter + Command (Or Presentation Model)

주로 명령(편집, 수정) 시에 사용하는 방식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얇게 유지(파사드)
  • 도메인 모델로 위임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예제

원시타입의 나열 VS 인자 (커맨드) 객체

  • 원시타입이 너무 많이 나열되면 그것은 안티패턴이라고 보고 가능하면 인자(Or 커맨드)로 캡슐화 하는 것이 좋아 보인다.

단순 인자이며 명령을 캡슐화 하지 못하는데 커맨드 패턴이라고 부르는 것이 어색해 보인다.

package com.saasovation.identityaccess.application;

class TenantIdentityService {
    @Transactional  // 트랜잭션과 보안 처리
    @PreAuthorize("hasRole('SubscriberRepresentative')")
    public void activeTenant(TenantId tenantId) {
        // 도메인 모델로 위임
        this.nonNullTenant(tenant).activate();
    }

    @Transactional(readOnly = true)
    public Tenant nonNullTenant(TenantId tenantId) {
        Tenant tenant = this.tenant(tenantId);
        if (tenant == null) {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Tenant does not exists");
        }
        return tenant;
    }
}

결합이 분리된 서비스 출력

    @Override
    @Transactional(readOnly = true)
    public void findTenant(TenantId tenantId) {
        Tenant teannt = 
                this.tenantRepository.tenantOfId(tenantId)
        this.tenantIdentityOutputPort().write(tenant);
    }

최근 추세는 어쨋든 사용자에게 출력에 대한 책임은 가능한 UI가 하는 것이 좋다고 본다. 이는 애플리케이션의 책임이 아닌 것 같다.

그러한 것은 컴포넌트로 추상화 해서 UI 모듈에 있는 것이 더 어울리는 것 같다. 개인적으로 출력은 반환 값이 있는 것이 더 직관적으로 보인다.

여러 바운디드 컨텍스트 묶기

UI에서 다수의 모델을 구성해야만 할 때가 있다. 이 그림에서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사용해서 세 개의 모델을 구성한다.

그림 14.3 UI에서 다수의 모델을 구성해야만 할 때가 있다. 이 그림에서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사용해서 세 개의 모델을 구성한다.

  • 애플리케이션 계층이 유스케이스를 관리 - UI 계층이 아니다!!
  • 제품, 토론, 리뷰 컨텍스트가 분리 VS 하나의 컨텍스트로 통합 > 결론은 모델 정제!!

개인적으로 이러한 상황에서는 UI에서 각각 쿼리 해서 조합하던가, API-GW에서 조합하는 것이 좋다고 본다.

물론 특정 컨텍스트 내에서 조합해야 한다면 애플리케이션 서비스가 가장 어울리는 장소인 것 같다.

인프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는 도메인 모델의 리파지토리 인터페이스에 의존적이지만, 인프라의 구현 클래스를 사용한다. 패키지는 넓은 범위의 책임을 캡슐화 한다

그림 14.4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는 도메인 모델의 리파지토리 인터페이스에 의존적이지만, 인프라의 구현 클래스를 사용한다. 패키지는 넓은 범위의 책임을 캡슐화 한다

엔터프라이즈 컴포넌트 컨테이너

EJB VS Spring

마무리

  • 도메인 모델 -> UI 모델
  • 사용자 입력 -> 도메인 모델
  •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책임
  • DIP로 도메인 모델과 기술(인프라) 분리 및 유연성 확보

MJ

MJ
Backend 개발자 사람입니다. 어플리케이션의 복잡성을 다루는 DDD에 관심이 많습니다. 어제보다 더 나은 개발자가 되려고 항상 노력합니다.

spring boot 2.4.x 에서 openfeign + hystrix 통합하기

spring-boot 2.4.x spring-cloud 2020.x 의존성 상황에서 feign.hystrix.enabled=true가 안됨`feign.circuitbreaker.enabled=true` 로 바꿔보지만 openfeign과 hystr...… Continue reading

IDDD 12장. 리파지토리

Published on June 10,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