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DQ 3장 모델 주도 설계

DDDQ(Domain Driven Design Quickly) - 도메인 주도 설계란 무엇인가? 라는 책의 간단 요약 정리

모델 주도 설계

프로젝트 진행 과정을 도메인 모델을 통해서 밀접하게 연결시킨다.

기능, 분석, 설계, 구현등의 일련의 과정이 도메인 모델 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상호 간 피드백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여기에 유비쿼터스 언어 를 적극적으로 사용한다. 또한, 코드는 모델을 밀접하게 반영한다.

도메인 모델 주도 설계를 이용하여 구현 시 OOP가 적합하다.

모델 주도 설계를 위한 블록

MODEL-DRIVEN DESIGN의 언어로 구성된 내비게이션 맵

이미지출처 : http://www.infoq.com/minibooks/domain-driven-design-quickly

계층형 아키텍처

Layred Architecture

이미지출처 : http://wikibook.co.kr/article/layered-architecture/

복잡성 제거를 위해서 레이어로 분할

  • 레이어 내 응집력 강화
  • 하위 레이어에만 의존적
  • 도메인 레이어를 두어서 도메인 자체 표현에 집중
  1. 사용자 인터페이스 (Presentation) : 표현
  2. 애플리케이션 레이어 (Service) : 위임, 처리
  3. 도메인 레이어 (Domain) : 비즈니스로직, 상태
  4. 인프라스트럭처 레이어 (Repository 등) : 영속화, 통신 등

엔티티(Entity)

  • 연속성 : 동일한 객체의 상태가 생명주기 내에서 변화하는 것
  • 유일성 : 생명주기 내 객체가 유일하게 지속될 수 있게 하는 것, 유일한 식별자 존재

엔티티의 구현 : 식별자를 만들어 내는 작업

DB테이블의 주식별자로 엔티티의 식별자를 만들어도 된다. - 주로 이렇게 한다.

값 객체(Value Object)

정의 : 도메인의 어떠한 측면을 표현하는 데 사용되지만 식별자가 없는 객체. 주로 수치와 같은 상대적으로 단순한 값을 표현하고 불변성(수정할 수 없음)을 가짐

  • 값 객체는 라이프사이클을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즉 쉽게 생성되고 폐기할 수 있다.
  • 불변 객체
    • 만약 변경이 필요하다면 새로 만들거나 복사해서 변경한 후 반환한다 - 방어 복사
    • 참조 : http://download.oracle.com/global/kr/magazine/23winter_tech2.pdf

엔티티와 대조

  • 불변 != 상태가 변함 = 연속성
  • 식별자가 필요없음 != 식별자가 필요함 = 유일성

값 객체 자체로는 의미가 약하다. Entity 속성으로 많이 쓰이고 엔티티와 함께 존재할 때 완전한 의미를 가진다.

서비스(Service)

  • 인터페이스 행위(operation)와 위임
  • 도메인 객체의 행위로 포함하기 힘든 경우 서비스 행위로 정의 - 즉 도메인 객체의 역할로 할당하기 힘든 경우
  • 역으로 도메인 객체에 속하는 역할을 서비스 행위로 만들면 안된다 - 서비스 역할이 도메인 영역을 심하게 침범하면 계층 간 강결합이 일어난다.
  • 어떤 행위(계좌이체)에 대한 도메인 객체 간(송금계좌와 입금계좌) 느슨한 결합

특징

  1. 서비스에 의해 수행되는 오퍼레이션은 일반적으로 엔티티 또는 값 객체에 속할 수 없는 도메인의 개념을 나타낸다.
  2. 수행되는 오퍼레이션은 도메인의 다른 객체를 참조한다.
  3. 오퍼레이션은 상태를 저장하지 않는다. (stateless)

모듈(Module)

도메인 모델의 구조화된 일부분

모듈화 : 관련된 개념과 작업을 조직화하여 복잡도를 감소시키는 기법

  • 모듈 기반 높은 응집도 > 모듈 간 결합도는 낮아짐
    • 통신 응집도 : 같은 데이타
    • 기능 응집도 : 유사한 행위

모듈에 유비쿼터스 언어로 된 이름을 부여하라

집합(Aggregate)

관계의 단순화

  1. 모델의 핵심 사항이 아닌 관계가 있다면 그 관계를 제거한다.
  2. 다수성(N)의 숫자는 제약사항(constraint)-또는 한정자(qualifier)-을 추가하여 감소시킨다
  3. 많은 경우 양방향 관계는 단방향 관계로 대처될 수 있다.

관계의 단순화를 거친다고 할 지라도 객체 사이에는 아직도 많은 복잡한 관계가 존재한다. 여기에서 모든 객체의 관계가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관계의 일관성

  • 데이터 무결성 보장
  • 불변식?? 강제

집합으로 관계의 일관성을 유지하자

  • 각 집합은 하나의 root를 지닌다.
  • root는 엔티티
  • root는 집합된 다른 객체들에 대한 참조를 가지고 있다.
  • root를 통해서만 객체의 외부에서 접근가능
    • 즉, 다른 객체들은 집합에 속한 객체들을 직접 변경할 수가 없음
    • 오직 root를 통해서면 내부 객체들의 변경을 요청할 수 있음
    • root를 통한 행위는 제어가 가능하다. - 이 제어를 통해서 관계의 일관성 을 유지할 수 있다.
    • 만약 외부에서 내부 객체의 참조를 요청하면 복사해서 전달하면 된다. - 방어 복사

예제

Aggregate Example

  • Customer : 집합의 root
  • 나머지 객체들은 값 객체(Value Object)

팩토리(Factory)

복잡한 엔티티나 집합을 생성하는 행위를 root 엔티티를 통해서 생성하는 것은 해당 엔티티의 책임으로 부적절하다.

하나의 객체를 생성하는 것은 그 차제로 주요 오퍼레이션에 해당하지만, 복잡하게 조합된 오퍼레이션을 이미 생성된 객체가 부담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이러한 책임(복잡한 객체를 생성하는 것) 생성된 객체와 결합시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려운 조악한 설계를 낳는다.

복잡한 객체 생성의 절차를 캡슐화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 = 팩토리

팩토리는 객체 생성에 필요한 지식을 캡슐화하는 데 사용되며 집합(과 같이 복잡한 객체)를 생성하는 데 특히 유용하다.

팩토리는 생성과 관련된 책임을 진다. 모델에는 포함이 되면서 도메인 책임을 가지지 않는다.

구현방법

팩토리를 사용할 때 중요한 점은 객체 생성의 책임 뿐만 아니라 제약조건과 불변식에 관한 규칙 도 포함된다

  • 값 객체 팩토리 값 객체에 대한 불변성을 지원해야한다.
  • 엔티티 팩토리는 엔티티 유일성을 위해서 식별자 생성의 책임도 가질 수 있다.

팩토리가 대신 생성자를 이용해야 하는 경우

  • 생성 작업이 복잡하지 않다.
  • 객체의 생성이 다른 객체의 생성과 연관되어 있지 않으며 모든 속성이 생성자를 통해 전달되어야 한다.
  • 클라이언트가 구현에 관심이 있어서, 사용할 전략(Strategy) 패턴을 선택하려고 한다.
  • 클래스가 바로 해당 타입이다. 관련된 계층 구조가 없어서 concrete 구현 목록에서 선택할 필요가 없다.

팩토리는 새로운 객체를 생성하는 책임을 가진다. DB에 존재하는 객체 메모리에 올리는 작업(일종의 조회)과 구분되어야 한다.

리파지토리(Repository)

도메인과 인프라스트럭쳐(ex:DB)의 계층 분리

  • DB를 통해서 객체를 조회하는 책임을 단순하게 해결할려면 도메인을 사용하는 클라이언트에서 DB를 조회하면 된다.
  • 하지만 그로 인해 도메인 자체가 인프라스트럭쳐에 강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메인의 격리 를 위배하게 되어서 도메인 모델을 위태롭게 한다.
  • 그리고 엔티티와 값 객체는 단순한 데이터 컨테이너(DTO)가 되버리고 도메인 로직은 인프라스트럭쳐와 클라이언트 코드로 옮겨가게 된다. 모델은 위태로워 지고 클라이언트 코드는 파멸로 간다.
  • 도메인과 인프라스트럭쳐가 강결합인 상태에서 DB를 변경한다면?

(영속화 된) 객체 참조를 얻는 로직을 캡슐화하기 위해 리파지토리를 사용

  • 클라이언트(도메인 로직)는 객체를 가져오는 인터페이스만 필요할 뿐이다.
  • 인프라스트럭쳐 또한 은닉되므로 클라이언트는 인프라스트럭쳐와 결합도가 낮아진다.
  • 자연스럽게 모델은 명확해 지고 본연 도메인 로직에 집중된다.

Repository 요청 구조

명세(Specification) 를 이용한 복잡한 검색 지원

참조 Url : http://vandbt.tistory.com/4

팩토리와 리파지토리 비교
  • 둘은 모델 중심 설계의 패턴이며, 생명주기를 관리한다.
  • 팩토리는 객체의 생성 (無 -> 有)
  • 리파지토리는 영속화된 객체를 조회

리파지토리를 이용한 영속화 흐름도

리파지토리와 팩토리를 이용한 흐름도

  1. Customer 객체 생성을 팩토리에 요청한다.
  2. 생성된 Customer 객체를 반환받는다.
  3. 생성된 Customer(C0123) 객체의 추가(영속화)를 리파지토리에 요청한다.
  4. 리파지토리 내부(구현체)에서 DB 입력을 실행한다.

MJ

MJ
Backend 개발자 사람입니다. 어플리케이션의 복잡성을 다루는 DDD에 관심이 많습니다. 어제보다 더 나은 개발자가 되려고 항상 노력합니다.

spring boot 2.4.x 에서 openfeign + hystrix 통합하기

spring-boot 2.4.x spring-cloud 2020.x 의존성 상황에서 feign.hystrix.enabled=true가 안됨`feign.circuitbreaker.enabled=true` 로 바꿔보지만 openfeign과 hystr...… Continue reading

IDDD 14장. 애플리케이션

Published on June 19, 2018